경제와 경영 619

中 '인프라 특수'에도… 현대건설기계 울고 두산인프라 웃는 이유는

조선비즈 김우영 기자 입력 2020.07.01 15:28 중국 정부가 경기 부양책 일환으로 대규모 인프라 공사를 추진하면서 현지에서 굴삭기가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그러나 두산인프라코어 (6,850원▼ 400 -5.52%)와 달리, 현대건설기계 (21,400원▼ 500 -2.28%)는 비교적 부진한 상황이다. 중국 시장에서 국내 대표 건설 기계 업체의 희비가 엇갈린 이유는 무엇일까. 1일 중국건설기계협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중국 시장 내 굴삭기 판매 대수는 총 14만5800대로 집계됐다. 역대 최고 수준이다. 올해 초까지만 해도 코로나19 영향으로 굴삭기의 판매 대수는 1만대를 넘지 않았으나, 중국 정부가 철도, 고속도로, 교각 등 대대적인 인프라 공사를 벌이면서 지난 3월에만 4만9408대..

경제와 경영 2020.07.01

[특파원 리포트] 소비자는 기업 입장을 묻는다

조선일보 박순찬 실리콘밸리 특파원 입력 2020.06.22 03:12 박순찬 실리콘밸리 특파원 전 미국을 강타한 흑인 인종차별 시위로 글로벌 기업들도 바빠졌다. 사회문제에 민감한 '밀레니얼·Z 세대'들이 눈을 부릅뜨고 지켜보고 있기 때문이다. 고객뿐 아니다. 내부 직원들까지 회사에 입장을 요구했다. 지난달 말부터 애플과 나이키, 넷플릭스, 마이크로소프트(MS) 등 주요 글로벌 기업들은 소셜미디어에 애도와 지지를 밝히는 글을 올리기 시작했다. 기부를 실시하고, 인종차별을 개선하겠다는 약속도 잇따랐다. 미국 국적 기업들뿐 아니라 벤츠와 이케아, 레고 등 본사를 세계 각국에 둔 비(非)미국 글로벌 기업들도 동참했다. 젊은 세대들은 내가 사는 브랜드, 내가 일하는 회사가 사회문제에 어떤 태도를 갖고 있는지를 중..

경제와 경영 2020.06.22

립스틱 대신 눈 화장..소비행태도 변화

서유진 입력 2020.06.19. 05:01 수정 2020.06.19. 06:43 재난지원금 뭐 했나..韓은 소고기 사먹고 美는 풀장 지었다 립스틱 대신 눈 화장..소비행태도 변화 코로나 19로 인해 사람들의 소비 패턴에도 변화가 생겨나고 있다. 한 여성이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눈 화장을 하고 있다. [중앙포토]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이 발발하자 각국은 앞다퉈 '재난 지원금'을 각 가정에 뿌렸다. 급속히 움츠러든 소비를 살리기 위한 고육책이었다. 미국은 지난 3월 2조2000억 달러(2700조원) 규모의 경기부양 패키지 법안을 마련해 현금을 나눠줬다. 연 소득 7만5000달러 이하 성인에게 최대 1200달러(147만원)짜리 수표를 보내주는 방식이었다. 미국인들은 이 돈으로 뭘 했을까...

경제와 경영 2020.06.19

현대차 정의선 부회장이 에어컨도 없는 차를 탄 이유[김도형 기자의 휴일차(車)담]

김도형 기자 입력 2020-06-13 16:00수정 2020-06-13 16:00 소소하게 요즘 차와 차 업계를 이야기하는 [김도형 기자의 휴일차(車)담] 네 번째 주제는 모터스포츠입니다. 조금 더 정확하게는 현대자동차의 모터스포츠 도전입니다. 제목으로 달아놓은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의 이야기가 바로 모터스포츠와 관련된 일화입니다. 차분하게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0 WRC에 참가한 현대모터스포츠팀 i20 Coupe WRC의 주행 모습. 현대자동차 제공 휴일차담 세 번째 편, 독일차 그리고 많은 자동차 브랜드들의 변신에 대한 글에도 많은 관심을 보내주신 독자분들께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오랫동안 쌓은 신뢰를 스스로 무너뜨린 독일차 브랜드들에 대한 비판적인 독자 의견이 적지 않았는데요..

경제와 경영 2020.06.13

한국 GDP 순위 12위 유지…1인당 국민소득은 세계 30위권

송고시간2019-07-07 07:19 물가상승률 상대적으로 높아 구매력평가 기준 순위는 하락 세계은행(WB)과 국제통화기금(IMF)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정수연 기자 = 지난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규모가 세계 12위를 유지했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 순위는 세계 30위권으로 나타났다. 7일 세계은행(WB)에 따르면 작년 한국의 명목 GDP는 1조6천194억달러로 전 세계 205개국 중 12위를 차지했다. 전년과 순위가 같았다. 한국의 GDP 순위는 2009∼2013년 14위에서 2014년 13위, 2015∼2016년 11위까지 올랐다가 2017년 12위로 한 계단 내려왔다. 지난해 경제 규모 1위는 미국으로 명목 GDP가 20조4천941억달러에 달했다. 이어 중국(13조6천..

경제와 경영 2020.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