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IMF "유가 50달러 선 계속되면 사우디 5년 내 현금 고갈"

Shawn Chase 2015. 10. 26. 13:39

주희연 기자

입력 : 2015.10.26 11:21

 
국제유가가 배럴당 50달러 선에 계속 머무를 경우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바레인 등 중동 산유국 대다수가 5년 이내에 현금고갈 사태를 맞게 될 것이란 경고가 나왔다.

CNN머니,인디펜던트 등은 국제통화기금(IMF)가 보고서에서 저유가 장기화로 인해 올 한 해 동안 중동 지역에서 사라진 돈 액수가 3600억 달러로 추산했다고 25일(현지 시각)보도했다. 보고서는 "원유 수출국들은 재정적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 지출과 세수정책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IMF에 따르면 “세계 최대 원유 생산국인 사우디가 균형재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국제유가가 106달러을 유지해야만 한다”며 “50달러 선 유가로는 사우디가 5년도 못버틸 것”으로 지적했다.

국제유가는 지난 23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가 배럴당 44.60달러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최근 저유가는 경기 둔화보다 미국의 셰일가스에 대항하기 위한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의 공급 확대가 더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보고있다.

캐피털이코노믹스에 따르면 사우디의 현재 통합재정수지 적자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약20%로 치솟은 상태다. 사우디의 현금보유액은 약 7000억 달러로 여전히 막대한 규모이지만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사우디는 올해 들어 부족한 현금을 확보하기 위해 40억 달러 규모의 국채를 팔았다. 중앙은행은 지난 6개월간 자산관리운용사인 블랙록(BLK)으로부터 700억 달러를 끌어오기까지 했다.

지난 8일 영국 가디언의 보도에 따르면 사우디 왕실과 정부는 자동차와 가구 등의 공식적인 구매를 금지했고 공무원 승진 및 임명 중단, 출장 비용과 사회 기반 시설 비용 대폭 삭감 등 허리띠를 졸라맨 것으로 알려졌다.

이란 역시 저유가로 재정난을 겪기는 마찬가지이다. IMF 보고서는 이란이 균형재정을 이루려면 유가가 72달러 선을 유지해야 하는데, 현재와 같은 저유가로는 10년도 채 못버틸 것을 내다봤다. 바레인 경우는 이미 막대한 부채 등 재정적 압력을 겪고 있으며, 5년 내 위기를 맞을 전망이다.

그러나 중동 산유국 중 비교적 재정적 안정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국가도 있다. 바로 쿠웨이트, 카타르, UAE다. 이 3개국의 경우, 경제위기 시 재정을 유지할 수 있는 오일머니를 비축해 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IMF 보고서는 UAE 경우는 유가가 50달러 선을 장기간 유지해도 거의 30년 동안 버틸 수 있으며, 카타르와 쿠웨이트 역시 25년은 버틸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