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인치 메인 디스플레이 탑재...곡률 1.5R에 인폴딩 방식 확정
발행일2018.09.05 18:00
삼성전자가 접으면 스마트폰, 펼치면 태블릿이 되는 폴더블 스마트폰 디자인과 규격을 확정했다. 첫 폴더블폰의 디자인은 작은 다이어리와 흡사하다. 디스플레이가 세로 축 중심으로 안쪽으로 접히는 인폴딩 구조다. 제품을 접었을 때 화면이 보이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깥쪽 면에 별도 디스플레이를 추가한다.
5일 복수의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삼성전자 폴더블 스마트폰은 7.3인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에 세로(Y) 축 인폴딩 방식으로 디자인을 확정했다. 인폴딩은 화면이 안쪽으로 접히는 걸 뜻한다. 다이어리를 접고 펼치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디스플레이를 안으로 접으면 화면을 볼 수 없다. 삼성전자는 이 같은 인폴딩 방식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별도 4.6인치 플렉시블 OLED를 추가할 방침이다. 접은 상태에서도 스마트폰처럼 쓰게 하려는 의도다.
기술 규격과 양산 계획도 나왔다. 메인 디스플레이인 7.3인치 폴더블 OLED는 삼성디스플레이가 제조를 맡는다. 터치 기능이 디스플레이에 내장된 터치 일체형 OLED다. 디스플레이 곡률은 1.5R를 지원한다. 곡률은 휘어진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1.5R는 반지름이 1.5㎜인 원을 감쌀 정도로 디스플레이가 접힌다는 뜻이다.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월 10만~12만대 안팎이 생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10월부터 월 15만~18만대 규모로 폴더블 OLED에 쓰이는 부품을 발주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발주량과 생산량에서 차이가 나는 건 수율 때문이다. 투명 폴리아미드(PI), 편광필름, 테이프형 접착제(OCA), 기판소재(PI 바니시) 등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들어갈 주요 부품·소재를 공급하는 회사 역시 확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마트폰은 2007년 애플 아이폰이 출시하면서 급성장을 거듭했다. 그러나 만 10년이 지나면서 시장은 정체기에 들어섰다. 성능과 품질이 좋아지면서 새 제품을 사려는 수요가 줄고, 기술도 상향평준화되면서 차별화된 제품도 만들기 어렵게 됐다. 경쟁은 가열돼 좀처럼 돌파구를 찾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폴더블폰이 주목 받는 건 바로 이 때문이다. 스마트폰과 태블릿이 동시에 되는 새로운 폼팩터로 혁신을 보여 주면 새로운 스마트기기 교체 수요가 기대된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 외에도 화웨이, 오포, 샤오미가 폴더블폰 개발에 착수했다. 시장 선점을 위한 최초 공개를 놓고 삼성과 화웨이 간 신경전이 치열해지고 있다. 그러나 삼성은 세계 1위 스마트폰 제조사다. 수년 전부터 폴더블 스마트폰 기술을 축적, 제품 완성도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 폴더블폰이 스마트폰을 뛰어넘어 태블릿 시장까지 흡수하는 변화를 일으킬지 주목되는 배경이다. 다만 디스플레이를 두 개나 사용하고 세계 처음 상용화하는 부품·소재가 적지 않아 첫 제품 판매 가격은 상당히 고가일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 폴더블폰의 개발 프로젝트명은 '위너(Winner)'다. 세계 모바일 시장에서 이름처럼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삼성 폴더블 스마트폰 예상 규격과 내용>
발행일2018.09.05 18:00
삼성전자가 접으면 스마트폰, 펼치면 태블릿이 되는 폴더블 스마트폰 디자인과 규격을 확정했다. 첫 폴더블폰의 디자인은 작은 다이어리와 흡사하다. 디스플레이가 세로 축 중심으로 안쪽으로 접히는 인폴딩 구조다. 제품을 접었을 때 화면이 보이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깥쪽 면에 별도 디스플레이를 추가한다.
5일 복수의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삼성전자 폴더블 스마트폰은 7.3인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에 세로(Y) 축 인폴딩 방식으로 디자인을 확정했다. 인폴딩은 화면이 안쪽으로 접히는 걸 뜻한다. 다이어리를 접고 펼치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디스플레이를 안으로 접으면 화면을 볼 수 없다. 삼성전자는 이 같은 인폴딩 방식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별도 4.6인치 플렉시블 OLED를 추가할 방침이다. 접은 상태에서도 스마트폰처럼 쓰게 하려는 의도다.
기술 규격과 양산 계획도 나왔다. 메인 디스플레이인 7.3인치 폴더블 OLED는 삼성디스플레이가 제조를 맡는다. 터치 기능이 디스플레이에 내장된 터치 일체형 OLED다. 디스플레이 곡률은 1.5R를 지원한다. 곡률은 휘어진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1.5R는 반지름이 1.5㎜인 원을 감쌀 정도로 디스플레이가 접힌다는 뜻이다.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월 10만~12만대 안팎이 생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10월부터 월 15만~18만대 규모로 폴더블 OLED에 쓰이는 부품을 발주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발주량과 생산량에서 차이가 나는 건 수율 때문이다. 투명 폴리아미드(PI), 편광필름, 테이프형 접착제(OCA), 기판소재(PI 바니시) 등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들어갈 주요 부품·소재를 공급하는 회사 역시 확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마트폰은 2007년 애플 아이폰이 출시하면서 급성장을 거듭했다. 그러나 만 10년이 지나면서 시장은 정체기에 들어섰다. 성능과 품질이 좋아지면서 새 제품을 사려는 수요가 줄고, 기술도 상향평준화되면서 차별화된 제품도 만들기 어렵게 됐다. 경쟁은 가열돼 좀처럼 돌파구를 찾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폴더블폰이 주목 받는 건 바로 이 때문이다. 스마트폰과 태블릿이 동시에 되는 새로운 폼팩터로 혁신을 보여 주면 새로운 스마트기기 교체 수요가 기대된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 외에도 화웨이, 오포, 샤오미가 폴더블폰 개발에 착수했다. 시장 선점을 위한 최초 공개를 놓고 삼성과 화웨이 간 신경전이 치열해지고 있다. 그러나 삼성은 세계 1위 스마트폰 제조사다. 수년 전부터 폴더블 스마트폰 기술을 축적, 제품 완성도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 폴더블폰이 스마트폰을 뛰어넘어 태블릿 시장까지 흡수하는 변화를 일으킬지 주목되는 배경이다. 다만 디스플레이를 두 개나 사용하고 세계 처음 상용화하는 부품·소재가 적지 않아 첫 제품 판매 가격은 상당히 고가일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 폴더블폰의 개발 프로젝트명은 '위너(Winner)'다. 세계 모바일 시장에서 이름처럼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삼성 폴더블 스마트폰 예상 규격과 내용>
'IT·가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 아이폰XS·XS맥스·XR 공개···한국은 1·2차 출시국 제외, 10월말 출시 예상 (0) | 2018.09.14 |
---|---|
하반기 프리미엄 TV 대전...8K·OLED TV 신제품 연달아 출시 (0) | 2018.09.10 |
화웨이가 카메라 4대? 그럼 갤럭시S10은 5대 (0) | 2018.09.06 |
샤오미가 23만원짜리 '가성비 甲 TV' 내놓자 삼성·LG가 보인 반응 (0) | 2018.09.04 |
중국 반도체 굴기 위해 대만 인재 대거 스카우트 (0) | 2018.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