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역사

日요미우리신문 '전쟁때 거짓말 받아쓰기했다' 반성 특집

Shawn Chase 2015. 8. 13. 18:27
  •  

    전문가 "당시 언론, 군부 기대 이상으로 戰意 함양"연합뉴스 | 입력 2015.08.13. 16:26
  • 전문가 "당시 언론, 군부 기대 이상으로 戰意 함양"

    (도쿄=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일본내 발행부수 최다인 보수지 요미우리 신문이 종전 70주년을 맞아 자사를 비롯한 일본 신문들이 전쟁 때 군부의 '거짓말'을 그대로 전하는 '나팔수' 역할을 했음을 반성하는 취지의 특집 기사를 13일자에 실었다.

    요미우리는 전시에 정보 통제를 담당한 내각 직속의 '정보국'이 전황에 대해 "대본영(전쟁시 일본군의 최고 지휘부)이 허가한 것 외에는 일절 게재를 금지했다"고 소개했다.

    과거 전쟁시기 자사를 포함한 일본 언론의 보도 양태를 소개한 요미우리 신문의 13일자 특집기사.
    과거 전쟁시기 자사를 포함한 일본 언론의 보도 양태를 소개한 요미우리 신문의 13일자 특집기사.

    대본영의 발표는 1941년 12월 진주만 기습을 시작으로 일본이 승전고를 올린 첫 6개월 동안 거의 정확했지만 미군의 공세가 거세지자 일본군의 피해는 축소하고 전과는 과장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특히 연합군의 우세로 전황이 바뀌게 된 1942년 6월 '미드웨이 해전'의 경우 실제 일본군은 항공모함 4척을 잃는 패배를 당했지만 대본영은 항공모함 1척을 상실하고 1척이 대파됐을 뿐이며 일본 측이 큰 전과를 올렸다고 거짓 발표했다.

    또 1944년 10월 대만 앞바다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미 항공모함 19척을 포함 적군 함정 45척을 격침·격파했다는 대본영 발표에 일본 전역이 들끓었지만 실제로는 미국 함정이 한 척도 격침되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일본 신문 기자들은 외국 보도 등으로 실제 전황은 불리하게 전개되고 있음을 알았지만 대본영 발표의 기만성을 추궁하지 못했다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또 당시 육·해군의 보도부는 군사 기밀에 관련한 기사 외에도 신문의 헤드라인, 활자 크기 등에까지 세세한 지시를 내렸으며, 언론의 자유를 상실한 신문들은 맹목적으로 대본영 발표를 '받아쓰기'했다.

    요미우리의 취재에 응한 교토(京都)대학의 사토 다쿠미(佐藤卓己) 교수는 "정부와 군부의 정보 통제가 있었지만, 언론을 피해자로 평가하고 당시 상황을 '언론 탄압'이었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며 "신문을 비롯한 다양한 미디어는 통제를 수용, 정부와 군부가 기대했던 것 이상으로 전의(戰意)를 함양하는 기능을 발휘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사토 교수는 "전쟁때 언론은 일본이 용감하게 싸움을 계속하고 있다는 기사를 읽고 싶다는 국민의 욕구에 부응하고 있었다고도 말할 수 있지만, 그것은 '대중의 기분'을 반영할 뿐이었고 존중해야할 '공론'은 방기한 것"이라며 "언론은 전쟁 책임을 자각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jhch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