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ICT·AI로 무인매장 관리… ‘홈시큐리티’까지 확장

Shawn Chase 2022. 5. 2. 14:03

 

[NCSI|무인경비보안 1위] 에스원

입력 2022.04.25 03:00

https://www.chosun.com/special/special_section/2022/04/25/APTXAEYKWBDTJJIDQV2KFYRR6I/

 

ICT·AI로 무인매장 관리… ‘홈시큐리티’까지 확장

ICT·AI로 무인매장 관리 홈시큐리티까지 확장 NCSI|무인경비보안 1위 에스원

www.chosun.com

2022년 무인경비보안 서비스업 국가고객만족도(NCSI) 조사에서 에스원이 79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에스원은 2021년 무인경비보안 서비스업 조사를 시작한 이래 2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이어 ADT캡스와 KT텔레캅이 각각 78점으로 공동 2위에 올랐다.

에스원은 올해 무인경비보안 서비스 국가고객만족도 조사에서 79점을 받아 2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에스원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탑재한 지능형 보안 설루션, 생체 인증을 접목한 무인 설루션 등 새로운 형태의 보안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에스원 제공

올해 무인경비보안 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는 전년 대비 1점 상승한 79점으로 조사됐다. 국내 무인경비 보안 시장은 CCTV, 출동경비 등으로 대표되는 물리보안 상품뿐만 아니라 무인매장, 홈시큐리티 시장으로까지 확장하고 있다. 최근 1인 가구 확대에 따라 홈보안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코로나로 비대면 문화가 확산하면서 다양한 업종에서 무인 매장이 늘어나자 이에 발맞춰 보폭을 넓혀가는 것이다.

2년 연속 1위를 차지한 에스원은 변화하는 보안 업계의 트렌드를 반영해 새로운 형태의 보안 기술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고객의 비용 부담을 낮추기 위해 적극적인 제휴 할인을 제공하는 등 끊임없이 고객 만족 제고를 위해 노력한 점을 인정받았다. 에스원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탑재한 지능형 보안설루션, 생체인증을 접목한 무인설루션, ICT 기술을 활용한 정보보안 서비스, 빅데이터를 적용한 통합관제센터 구축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에는 AI, 빅데이터, 언택트(UNTACT),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 등 최신 트렌드에 부합하는 최첨단 설루션을 선보이고 있다. 녹화한 영상을 AI가 자동으로 분석하는 지능형 영상보안기술이 적용된 무인 매장 설루션이 인기를 얻고 있으며, 비접촉 생체인증 방식인 얼굴인식기술을 적용해 차세대 통합 출입 관리 설루션 CLES(Creative Leading Enterprise Solution)를 출시했다. 에스원은 또 LG유플러스와 제휴를 통해 에스원 고객이 LG유플러스 인터넷·TV·전화에 신규 가입하면 월 기본요금을 할인 또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부가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LG유플러스 외에도 세스코, 신라인터넷면세점, 쿠쿠, 대명아임레디 등과 다양한 제휴를 맺었다.

 

ADT캡스는 78점으로 공동 2위를 기록했다. ADT캡스는 첨단 ICT 기술을 일상에 적용한 고도화된 보안 상품을 출시하고 있다. 특히 물리 보안 시장의 주요 트렌드로 떠오른 홈보안 시장에 적극적으로 대응했다. 최근에는 AI 기능을 업그레이드하고 디자인을 개선한 홈시큐리티 제품 ‘ADT 캡스홈’을 선보였다. 현관 앞 배회자 감지부터 실시간 영상 확인, 양방향 대화, 위급 시 긴급 출동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가족 얼굴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출입 내역과 동선을 파악하는 기능을 적용해 고객의 관심과 큰 호응을 얻었다는 평가다. 또 SK텔레콤과 협업을 통해 판매 채널을 SKT 대리점으로 확대했다.

공동 2위인 KT텔레캅은 KT 그룹의 IT 인프라와 기술력을 기반으로 국내 최고 수준의 무인경비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근에는 지능형 CCTV와 비접촉 생체인증시스템을 업계 최초로 결합한 비대면 출입 보안 서비스 ‘기가아이즈 아이패스’를 출시했다. 출입문 앞에 설치된 CCTV를 통해 모바일 앱과 PC로 방문자를 확인하고 실시간·원격으로 출입문을 열어주는 지능형 출입보안 서비스다. KT텔레캅은 또 이른 아침과 늦은 저녁 시간에 기술적인 AS 문의가 많다는 점을 파악, 해당 시간대에는 기술적 지식이 있는 전문 상담사가 직접 응대해 보다 빠른 안내가 가능하게 고객센터 운영을 혁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