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일본인 74% “종이책이 기억에 더 잘 남아”...전자책은 2%에 불과

Shawn Chase 2021. 10. 28. 22:26

 

도쿄=최은경 특파원

입력 2021.10.28 22:01

 

일본 도쿄역 마루젠 서점에 혐한 서적들이 진열돼 있다.

일본에서도 전자책이 널리 보급되고 있지만 대다수의 일본인들은 종이책이 읽기도 좋고, 책 내용도 기억에 더 잘 남는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이 일본의 ‘독서주간(週間)’을 맞아 실시한 여론조사(전국 2140명 우편 설문) 에서 종이책과 전자책 중 어느 쪽 내용이 더 기억에 잘 남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74%가 ‘종이책’을 꼽았다고 28일 보도했다. “전자책이 더 기억에 남는다”는 2%에 불과했고, “비슷하다”는 20%였다.

또, 응답자의 75%가 “종이책이 전자책보다 읽기 좋다”고 답했다. “전자책·종이책 모두 비슷하다”는 15%였고, “전자책이 종이책보다 읽기 좋다”는 응답은 7%에 그쳤다.

최근 한 달 사이 책을 몇 권 읽었는지 묻는 질문에는 총 47%가 “1권 이상”이라고 답했다. 1권이 16%, 2권이 13%로 많았다. 한 권도 읽지 않은 사람은 50%였다. 독서에 대한 각별한 애정도 드러났다. 응답자의 88%는 “독서가 인생을 풍요롭게 해준다”고 했고, 68%는 “독서로 사고방식이나 인생관에 영향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했다.

 

일본에서 전자책에 대한 관심은 계속 늘고 있다. 총무성 통계국 조사에 따르면 2020년 전자책에 대한 1인 평균 연간 지출액은 1716엔으로 전년(1092엔)보다 57.1% 늘었다. 요미우리 조사에서도 전체 응답자 29%가 전자책을 읽은 경험이 있다고 답해, 2018년 조사 당시 때(22%)보다 7%p 늘었다.

일본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작가는 누구였을까? 좋아하는 국내외 작가 3명을 뽑아달라는 질문에 가장 많은 사람이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으로 유명한 히가시노 게이고를 꼽았다. 요미우리는 “히가시노 게이고가 1위를 차지하는 건 7년 연속”이라고 설명했다. ‘료마가 간다’로 유명한 시바 료타로와 미나토 가나에, 미야베 미유키, 무라카미 하루키 등이 뒤를 이었다. 일본 독서주간은 10월 27일부터 11월 9일까지 총 2주일로, 독서 문화 보급을 위해 1947년부터 시작됐다. 미국의 ‘칠드런스 북 위크’를 모방한 것으로, 이후 일본에서 ‘가을은 독서의 계절’이라는 인식이 정착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