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

"명왕성은 빙하 흐르고 침식 거듭하는 '얼음 행성'"

Shawn Chase 2016. 3. 18. 09:27

이동휘 기자


입력 : 2016.03.18 08:53 | 수정 : 2016.03.18 09:02




뉴호라이즌스가 촬영한 명왕성의 모습에 대기가 보인다/사이언스 제공




미국 항공우주국(NASA) 탐사선 '뉴호라이즌스'가 지난해 7월 명왕성에 근접 비행할 당시 얻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가 나왔다. 명왕성은 빙하가 흐르고 침식을 거듭하는 '얼음 행성'이라고 한다.

NASA와 미국 콜로라도대, UC산타크루즈 등 공동 연구팀은 뉴호라이즌스가 보내온 자료를 바탕으로 명왕성의 지형과 대기 등을 분석한 연구 결과 5편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8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 지형이 명왕성 표면에 있는 질소와 이산화탄소 때문에 생긴 것이라고 추정했다.

명왕성 온도가 40켈빈(K·섭씨 영하 233.15도) 정도로 상승하면 표면의 질소와 이산화탄소가 유동성을 가지게 돼고, 그 위에 있던 얼음덩어리가 미끄러지면서 표면을 깎아 계곡 같은 지형이 생긴다는 것이다.

특히 태양의 고도가 높은 곳이나 근일점(행성의 공전 궤도상 태양과 가장 가까운 지점) 접근으로 명왕성의 온도가 더 올라가면 표면에 있는 메탄까지 유동성을 가지게 돼 더 복잡한 지형을 만들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명왕성 대기 분석에서도 질소와 메탄이 대기의 주성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명왕성 표면의 질소와 메탄이 기체가 된 것이다.

하지만 태양에서 매우 먼 거리에 있는 명왕성은 태양빛이 약하기 때문에 상층 대기의 온도가 매우 낮다. 기체가 됐던 질소와 메탄도 다시 응결해 지표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명왕성의 궤도는 심한 타원을 그리는 만큼 근일점이나 원일점(행성의 공전 궤도상 태양과 가장 먼 지점)을 지나면서 온도가 달라질 때 어떤 변화를 겪는지, 지금의 대기가 어떻게 형성됐는지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앞으로 뉴호라이즌스에서 계속 데이터를 전송받을 예정이다. 이를 통해 행성의 진화 과정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