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

이 세 가지 무기, 무엇이 다를까요? 자세히 알고 싶어요

Shawn Chase 2020. 9. 6. 16:41

입력 : 2013.10.22 08:46

 

국군의 날 등장 무기

전선 맨 앞 방어선 뚫는 전차, 1차 대전 때 英 최초로 만들어
장갑차는 병사 생명 지켜주고 자주포가 후방 사격 지원하죠

지난 10월 1일 제65주년 국군의 날 기념행사에 다양한 군 무기가 공개됐습니다.

전차부터 자주포, 장갑차를 비롯하여 그동안 일반에게 공개되지 않았던 '현무-3' 미사일과 무인 로봇 장비인 '견마 로봇' 등 최신 무기가 대거 등장했습니다.

일반인에게 처음 공개돼서 그런지 사람들에게 제일 관심을 끈 무기는 '현무-3' 미사일입니다.'현무(玄武)'란 원래 청룡·백호·주작 등 사신(四神) 중의 하나로 여겨지는 상상의 동물이며 일반적으로 북쪽의 수호신으로 여겨집니다. 우리나라는 1987년 지대지유도무기를 개발하면서 북의 위협으로부터 나라를 수호한다는 의미로 '현무'라는 이름을 지었다고 합니다. 이번에 처음 공개된 순항미사일 '현무-3'는 최대 사거리가 1,500km에 달해 남한 어디에서 발사해도 북한 전 지역의 핵심 시설을 타격할 수 있습니다.

 오종찬 기자, 국방과학연구소·삼성테크윈 제공

지상군 무기로는 K1A1 전차를 비롯해 K21 보병전투장갑차, K9 자주포 등이 공개됐습니다.

'전차, 장갑차, 자주포'는 생김새가 유사해 구별하기가 어렵지만 임무를 생각해 보면 쉬울 거예요.

먼저 전차는 보통 탱크(tank)로 불립니다. 전쟁터에서 맨 앞으로 나가 적 방어선의 장애물을 돌파하여 뒤따르는 장갑차와 자주포의 움직임을 쉽게 하는 것이 주 임무입니다. 험한 지형에서도 잘 달려야 하기 때문에 대체로 차체가 낮고 포탑이 차체 중앙에 있으며 포신이 자주포에 비해 짧습니다.

전차는 1차 대전 때 최초로 나온 무기인데, 당시의 전투는 참호를 파고 철조망을 친 방어선을 구축하여 적 보병이 몰려오면 기관총으로 이를 제압하는 형태였습니다. 아무리 많은 보병을 돌격시켜도 참호에 들어앉아 기관총을 쏘는 적에게 전멸당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여기서 아이디어를 낸 것이 '적의 기관총 공격에 방어 가능한 튼튼한 장갑을 두르고, 적 기관총이나 보병을 공격할 수 있는 무기를 달고 있는 전투차량'을 개발해 내는 것이었습니다. 최초로 전차를 만들어 전쟁에 투입한 것은 영국군으로서, 당시 이 극비의 무기를 만드는 기술자들에게 비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물을 실어 나르는 운반차량(Water Tank)'이라고 했으며, 이를 줄여서 '탱크'란 이름이 생겼습니다.

전차가 지상전의 왕자이긴 하지만, 혼자 힘만으로는 전장에서 승리할 수 없습니다. 전차는 시야가 좁기 때문에 대전차 무기를 들고 숨어 있는 적군을 모두 발견할 수는 없어서 아군 보병들이 따라다녀야 합니다. 병사들이 뛰어서 전차들을 따라다니기엔 한계가 있고, 일반 차량은 병사들의 생명을 지켜주지 못해요. 그래서 전차를 따라다니면서도 안에 탄 보병들을 적의 기관총 등으로부터 지켜줄 장갑을 두른 차량이 등장하게 되는데, 이것이 장갑차입니다.

반면 자주포는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自走)' 대포로, 전진하는 부대를 후방에서 포 사격으로 지원하는 무기입니다. 자주포가 아닌 일반 대포는 혼자선 움직일 수 없고, 다른 차량이 끌어줘야 한다는 단점이 있어요. 신속함이 요구되는 전쟁터에서 차로 대포를 끌고 다니다가 대포를 내려놓고 병사들이 내려서 사격할 준비를 한 다음 탄약을 장전하고 사격한다면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겠지요? 그래서 포를 끌고 다닐 필요 없이 궤도 차량에 설치하여 스스로 움직일 수 있게 만든 것이 자주포입니다. 자주포는 비교적 차체가 높고 포탑이 차체의 뒷부분에 위치합니다. 또 전차의 포는 직사포인 반면 자주포는 적이 보이지도 않는 먼 거리에서 포격을 하는 곡사포입니다.

여러분 이제 유사하게 생긴 세 가지 무기를 구별할 수 있겠지요?

[교사 및 학부모님께]

[단계1] 국군의 날 행사 사진·동영상을 준비해서 아이들에게 보여주기.
[단계2] 전차와 자주포 구별 가능한지 물어보기.
[단계3] 위의 기사를 읽게 하기.
[단계4] 다음과 같이 질문하기.
          ―전차와 자주포의 임무와 외관상 차이는?
          ―'탱크'라는 말의 유래는?
[단계5] 군인 아저씨들에게 감사 편지를 쓰게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