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미래탐험대 100] [87] 시골에서도 안과 진료 - 의료에 관심많은 양태명씨
'아이라이크'로 망막 촬영해 전송… 실명 유발 치명적 증상 조기 발견

베트남 꽝찌성 빈린현에 사는 레 꽝 중씨는 안과 진료를 위해 지난달 보건소를 찾았다. 빈린은 성도(省都) 동하시에서 차로 1시간 거리에 있는 작은 마을이다. 2~3년 전까지만 해도 이곳 주민들은 안과 진료는 하노이 같은 큰 도시 사람들이나 받는 고급 진료라고 여겼다. 베트남에선 녹내장과 당뇨망막병증 등으로 실명하는 노인과 장년층이 적지 않다.
보건소장인 의사 레 득 키엔씨는 익숙한 듯 스마트폰을 꺼낸 후 작은 망원경 비슷한 기기를 스마트폰 카메라 렌즈에 꽂았다. 키엔씨가 꺼낸 기기는 '아이라이크(EYELIKE)'라는 눈 검사 도구로 손바닥만 한 크기였다. 의사가 아이라이크를 레 꽝 중씨 오른쪽 눈에 밀착시키자 스마트폰 화면에 망막과 혈관이 나타났다. 1차 의료기관인 지역 보건소에서 이렇게 촬영된 이미지는 스마트폰을 통해 꽝찌성 내 2차 의료기관으로 전송돼 안과 전문의 판독을 거친다.
베트남에선 2017년부터 모바일 기술을 활용해 현지인들의 실명을 막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국제개발원조(ODA) 사업의 하나로 연세의료원 국제 실명예방사업팀이 주축이 된 '프로젝트 봄(BOM)'과 삼성전자의 기술 지원이 합쳐진 결과다. 베트남 안과 의사 수는 인구 100만명당 14.7명으로 한국(64.0명)의 23% 수준이다. 그나마 대도시에 몰려 있어 시골에선 안과 진료가 어렵다. 아이라이크 이전에도 안저(眼底) 카메라는 있었지만, 가격이 3000만~5000만원에 달해 지역 보건소가 구매하기 어려웠다.

아이라이크는 두 문제를 모두 해결했다. 렌즈와 간단한 소프트웨어 설치를 통해 가격을 기존 안저 카메라의 100분의 1 수준인 30만~50만원 선으로 낮췄다. 이를 통해 베트남 지역 보건소에 40여대를 보급했다. 카메라만 장착하면 모든 과정은 스마트폰으로 손쉽게 이뤄진다. 사진을 찍고 전용 앱을 통해 이미지를 큰 병원으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젝트 봄'은 2017년부터 꽝찌성과 타이응우옌성 등 베트남 주민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2/19/2020021900076.html
'과학·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풀리는 코로나 비밀···콧속에 붙어있는 바이러스, 독감 25배 (0) | 2020.04.06 |
---|---|
얼음 덮인 남극, 9천만년 전 공룡시대 땐 울창한 숲이었다 (0) | 2020.04.02 |
한국의 밥맛이 좋은 이유는? (0) | 2019.12.23 |
국산 정지궤도위성 '천리안2B호' 공개…동아시아 미세먼지 정밀 추적 (0) | 2019.12.06 |
누가 더 세나… 제2 비아그라 '왕좌의 게임' (0) | 2019.06.18 |